우리나라 정부는 OECD와 공동으로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1(Global Green Growth Summit 2011)’이라는 큰 행사를 개최했다.

주제는 “지구 책임적 문명 건설” 사람들이 기술을 개발하고 지구 자원을 쓰면서 문명을 발전 시켜왔지만 그 문명이 지구를 심각하게 파괴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방향 전환을 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은 행사다.

이 자리에서 OECD 앙헬 구리아 사무총장은 "한국은 녹색성장의 선두국가가 됐고, 이명박 대통령을 '녹색성장의 아버지'라고 불러야 한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우리나라 정부가 녹색 성장을 장기적인 국가전략으로 내세우며 일찍 시동을 걸은 것에 대해 많은 여론은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녹색성장의 선도국가라 하기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이번 행사의 벤치마킹 대상이었던 스위스 다보스 포럼-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된 우리나라의 ‘세계 환경 성과 지수’는 57.0점. 163개국 중 94위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미국 예일대학, 컬럼비아 대학 환경연구소 공동 조사 발표, 2010년)

대기오염 분야에서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118위, 산업부문 온실가스 146위에 그쳤다. 인체 유해 물질 분야에선 이산화황 145위, 질소산화물 158위로 국민이 맘 놓고 숨 쉬며 살 수 있는 국가로 보기 어렵다.

다수의 국민들은 내년 1월에 발표될 ‘세계 환경 성과 지수’가 높아지기를 바라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환경이 파괴되는 현장을 철저히 조사하고 분석해 성적표를 내놔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성적표를 놓고 대통령과 다른 부처 장관들에게 협조를 강하게 요청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장, 비즈니스 친화 정책도 중요하지만 환경, 생태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 대통령이 20일 행사에서 발표한 ‘녹색기술센터’와 ‘글로벌 녹색기술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조급한 것 아니냐’고 지적하고 있다. 녹색기술센터는 에너지, 물, 환경 등 관련 기술의 융합을 연구하고, 국제 연구개발(R&D) 공조체제를 구축한다는데 이는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 녹색기술의 범위를 규정하는 작업도 쉽지 않고, 예산과 인적 구성 등 준비해야 할 일들도 적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글로벌 녹색기술상’도 하반기 중 국제 심사위원회를 구성, 내년에 열리는 ‘글로벌 녹색성장 서밋 2012’에서 시상할 계획인데 남은 기간 1년이 짧다고 지적한다. 글로벌한 상은 특성상, 전세계에 충분하게 홍보되지 않을 경우 의미가 사라질 수 있고, 심사과정에서 불공정이 발생하면 상의 권위가 실추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했다.

심재훈 기자 jhsim1@eco-tv.co.kr








jhsim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