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I “수요자 중심 맞춤형 폭염 대응방안 마련해야”
폭염취약계층 분포·접근성 고려한 다양한 정책 필요

폭염으로 인한 피해는 기온뿐만 아니라 사회·경제·환경 여건에 따른 노출 환경의 차이로 다르게 나타난다. (사진 서울시청 제공)
폭염으로 인한 피해는 기온뿐만 아니라 사회·경제·환경 여건에 따른 노출 환경의 차이로 다르게 나타난다. (사진 서울시청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폭염 피해의 최소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2017년부터 데이터 기반 폭염의 부문별 영향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지난해 연구에서는 수많은 폭염 기록들이 경신된 2018년 여름의 폭염 피해 현황을 건강, 농·축산, 수산, 교통, 전력 등 부문별로 정리하고 사회·경제·환경 여건에 따른 폭염의 건강 영향을 분석했다.

KEI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여름 서울 강북에서 일 최고기온이 41.8℃를 기록했으며 이는 우리나라 기상관측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을 경신한 것이다. 전국 폭염일수는 31.5일로 최근 30년간 폭염일수 순위 중 1위를 기록했다.

질병관리본부 온열질환감시체계 운영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9월 10일까지 누적 온열질환자 수는 4458명, 사망자 수는 48명으로 직전 3년(2015~2017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또한 총 669만1000마리(돼지 2만6000마리, 닭 620만2000마리, 오리 등 46만3000마리)의 가축이 폐사해 가축재해보상 신청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고수온으로 인해 양식장 내 어패류의 집단 폐사도 발생했으며 경상남도에서만 양식장 89곳에서 말쥐치, 돌돔 등 양식어류 114만6900여마리(약 13억4400만원 상당)가 폐사했다.

이밖에 폭염으로 인해 교통사고가 전년 대비 약 8% 증가했으며 고온으로 인해 울산대교의 상판 도로 100m가 파손되는 등 폭염으로 인한 도로의 균열과 들뜸 현상까지 발생했다.

아울러 폭염으로 인한 피해는 기온뿐만 아니라 사회·경제·환경 여건에 따른 노출 환경의 차이로 다르게 나타난다. 온열질환 발생률은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높아지는데 65세 이상의 발생률이 그 외 연령대의 2.5배로 분석됐으며 온열질환 사망자의 61%가 60세 이상으로 피해가 고령층에 집중돼 나타났다.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의 온열질환 발생률은 그 외 소득층의 2~3배로 분석됐다. 전기·가스·수도사업, 농림어업 등에 종사하는 야외 노동자들은 온열질환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으며 폭염 사망자에서 무직 또는 농림어업 종사자는 77% 이상의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또한 저소득 고령층이 폭염에 취약한 주거환경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으며 실내 기온이 주간에는 일 최고기온과 유사한 수준까지 상승하고 야간에는 30℃ 이하로 하강하지 않는 거주 환경도 있었다. 주거 환경이 취약한 저소득 고령층에 대해 야간 시간대를 포함한 폭염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KEI는 "폭염으로 인한 피해는 기상·사회·환경적 요인 등이 복합돼 결정되므로 현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특보 체계로는 폭염 대응에 한계가 있다"면서 "이제 상세 시공간 단위별 폭염위험 예측 정보에 근거한 구체적 대응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폭염 대응 대책의 실효성 및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폭염취약계층의 분포, 접근성을 고려한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ong@greenpost.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