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전환포럼 ‘에너지전환 청년 프론티어’ 자문단 회의 개최
서남해·영양 등 갈등 많은 풍력발전… 시민 주도로 풀어야

양이원영 에너지전환포럼 사무처장이 25일 서울 패스트파이브 시청점에서 ‘에너지 전환 청년 프론티어’ 자문단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서창완 기자) 2019.6.25/그린포스트코리아
양이원영 에너지전환포럼 사무처장이 25일 서울 패스트파이브 시청점에서 ‘에너지 전환 청년 프론티어’ 자문단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서창완 기자) 2019.6.25/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기후변화’ 위기 속에 풍력발전에 초점을 맞춰 에너지전환의 비전을 논의하는 자리가 열렸다. 

에너지전환포럼은 25일 서울 패스트파이브 시청점에서 ‘에너지 전환 청년 프론티어’ 자문단 1차 회의를 열었다. 양이원영 에너지전환포럼 사무처장 주최로 열린 이날 회의의 참가자들은 에너지 관련 기업과 공공기관을 비롯해 시민단체와 학계, 언론계 등 다양하게 구성됐다.

‘에너지 전환 청년 프론티어’는 에너지전환 과정의 갈등과 문제요소들을 줄이고, 더 나은 방향으로 에너지전환이 이뤄질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자문단 회의에 앞서 전문가들이 풍력발전 현황을 짚는 발표가 진행됐다. 강금석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은 ‘해상풍력 확대를 위한 도전과 과제’라는 주제로 해상풍력의 이점과 갈등 양상들을 짚었다.

강 연구원은 “해상풍력은 화력·원자력을 대체할 목적으로 세계적으로 개발이 활발하다”면서 “유럽처럼 서해도 전세계 3~4개 안에 드는 낮은 바다라 입지가 좋다”고 말했다.

바다에 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하는 방식인 해상풍력은 육상보다 입지제약에서 자유로운 게 장점이다. 대형화로 높은 이용률 확보도 가능하다. 대규모 자본이 투입돼 계획에서 준공까지 6년 가량 소요되는 장기 사업이기도 하다. 건설 기간이 길고 규모가 큰 만큼 주민과의 갈등 해결이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서남해 해상풍력 사업에 대한 갈등의 골이 깊다. 당초 정부는 2011년 ‘서남해 2.5GW(기가와트) 해상풍력 종합추진계획’을 확정하고 고창·부안·영광 앞 바다에 60MW 실증단지로 시작해 향후 시범단지(400MW·2조원), 확산단지(2000MW·10조원)로 확대하는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1단계 실증단지 착공마저도 5년가량 지연된 상태다.

강 연구원은 “주민 수용성 해결이라는 말을 쓰는 순간 누군가를 이겨야 하는 문제가 된다”면서 “원자력이나 화력보다는 환경 문제 등이 단순한 만큼 주민 의견 청취와 갈등 주체간의 논의 과정을 강화해 서남해 실증단지 문제를 해결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상희 녹색당 탈핵특별위원장. (서창완 기자) 2019.6.25/그린포스트코리아
이상희 녹색당 탈핵특별위원장. (서창완 기자) 2019.6.25/그린포스트코리아

풍력발전과 관련한 부정적인 측면이 지나치게 부각되는 측면이 있다는 업계 불만도 나왔다. 이동진 GS이앤알 풍력사업개발팀 과장은 풍력 발전에 있어 잘못된 정보가 오해로 발전해 국민 공감대가 이뤄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과장은 영양제2풍력발전 건립을 두고 펼쳐지는 대립을 예로 들며 실제 현장에서는 주민들이 개발에 동의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낙후된 지역 개발과 주민 피해보상 등을 설명하면 주민들도 수긍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다. 실제 발전소 건립 예정지 460가구 주민을 대상으로 2년 동안 대화와 설득 과정을 거쳐 마을 협약을 체결했다고 강조했다.

풍력 에너지로의 전환 과정에 동의하면서도 정부가 건설 주도로 정책을 집행하는 방식은 지양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시민 주도와 분산형 방식으로 추구돼야 할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 과정이 자칫 무분별한 풍력발전 늘리기로 보인다는 의문이다.

이상희 녹색당 탈핵특별위원장은 “영양풍력발전에 현재 8개 풍력단지가 있고, 공사 중지된 곳까지 하면 190기의 풍력발전기가 밀집됐다”고 지적했다.

영양 풍력단지 조성이 시작 단계부터 신뢰를 잃고 시작한 점도 언급됐다.

이 위원장은 “2010년 4월 감사원 토착 비리 점검 때 밝혀졌듯이 당시 권영택 영양군수가 맹동산 풍력사업 인허가 과정에 편의를 지원했다”며 “대주주로 있는 건설회사가 풍력사업 기반공사를 시행하는 등 첫 단추가 잘못 끼워진 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자문단 회의에서는 오는 7~9월 진행되는 ‘에너지전환 청년프론티어 프로그램’ 운영 방안 등을 논의했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