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민들은 평균 43세가 돼야 처음으로 자기 집을 마련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Pixabay 제공) 2019.6.24/그린포스트코리아
한국 국민들은 평균 43세가 돼야 처음으로 자기 집을 마련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Pixabay 제공) 2019.6.24/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김형수 기자] 국민들은 평균 43세가 돼야 처음으로 자기 집을 마련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경제적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청년가구는 집값의 절반 가까이를 대출을 받아 메꾸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국토연구원이 국토교통부에 제출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최종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4년 동안 구매·분양·상속 등의 방식으로 태어나서 처음 집을 장만한 가구의 가구주 평균 나이는 43.3세로 조사됐다. 지난 2016년 41.9세보다 1.4세, 2017 43세보다 0.3세 높아졌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표본 6만1275가구를 개별 면접하는 방식으로 실시됐다.

소득이 적을수록 첫 내집마련 연령도 높아졌다. 최근 4년 동안 생애 첫 주택을 장만한 소득 10분위 가운데 1~4분위에 해당하는 소득 하위가구 가구주의 평균 연력은 56.7세였다. 전체 평균보다 13.4세가 많았다.

아울러 내 집 장만에 필요한 재원 상당부분을 대출로 마련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구매 당시 주택가격 대비 금융기관 주택 대출금 비율은 평균 37.8%로 집계됐다. 지난 2017년(38.2%)보다 0.4%p 떨어졌지만 여전에 40%에 가까운 수치다. 조사 시점 현재 주택가격 대비 금융기관 대출금 비율은 29.4%로 28.9%를 기록했던 2017년 보다 0.5%p 상승했다.

자산을 모을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청년가구와 신혼부부 가구는 집을 마련하기 위해 대출에 더 많이 의존했다. 청년가구(가구주 연령 만 20~34세)와 신혼부부가구(혼인 5년 이하·여성 배우자 연령 만 49세 이하)의 주택 구입 당시 주택가격 대비 주택대출금 비율은 각각 45.6%, 43.2%로 40%를 웃돌았다.    

이들은 주택대출금 상환 부담도 크게 느꼈다. 청년가구와 신혼부부 가구 가운데 “주택 대출금이나 임대료 상환이 부담된다”고 응답한 비율은 각각 84.3%, 82.7%로 집계됐다. 일반가구(70.7%)에 비해 10%p 넘게 높았다. 

경제적 부담 때문에 내 집을 마련하지 못하고 전·월세 계약 기간이 끝나면 이곳저곳으로 이사를 다니는 청년가구와 신혼부부가구의 비율도 높았다. 현재 주택에서 거주한 기간이 2년이 되지 않는 비율은 청년가구가 80.9%, 신혼부부가구가 69.7%로 조사됐다. 일반가구(36.4%)의 두 배 정도 비율이다.

 

 

alias@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