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현 의원 “방사선 산업 성장 잠재력 높아”

방사선 이용 기술 경제 규모. (신창현 의원실 제공)
방사선 이용 기술 경제 규모. (신창현 의원실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정부가 ‘방사선산업’을 원자력산업의 축소에 따른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에기평)이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에 제출한 ‘원전-방사선산업 연계 육성방안’을 분석한 결과 원전 단계적 축소 대책으로 비발전 분야인 방사선산업에 투자하면 성장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원전 건설과 운영으로 축적된 역량을 투자하면 전체 원자력산업(원전+방사선) 규모가 2배 이상 성장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는 정부가 점진적 원전 축소를 선언함에 따라 원전분야 기술인력과 기술개발(R&D) 자원을 방사선산업으로 전환해 방사선산업 생태계를 발전시키겠다는 의미다.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의 에너지전환 태스크포스(TF)는 이런 내용을 ‘에너지 대전환’ 실천방안에 담는 것을 검토 중이다.

방사선산업은 의료, 농업, 생명공학, 환경, 산업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방사선 기술을 이용한 국내경제 규모는 2009년 9조6000억원에서 2016년 기준 17조1000억원으로 GDP 대비 1.1%까지 성장했다. 연평균 3.8%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전력부문에 비해 국내 방사선산업은 한참 뒤떨어지는 게 사실이다. 기술 상용화가 미흡해 관련 산업 생태계가 형성돼 있지 않고 기업의 대응 역량도 부족하다.

방사선산업 종사자는 2013년 9만3574명에서 2020년 12만9880명까지 확대될 전망이지만 2017년부터 수요 대비 공급은 30% 부족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전체 원자력 R&D 예산 1조8529억원의 10.6%에 불과한 방사선 기술 예산을 크게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에기평은 또한 방사선산업을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려면 필립스, 지멘스 등이 독과점하고 있는 의료용 방사선 진단기기 세계시장에 우리도 적극 투자해야 한다고 밝혔다. 방사선 안전관리 분야에서도 원전산업 종사자 피폭량 관리 및 라돈침대 등 생활주변 방사선에 대한 안전관리 산업의 육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창현 의원은 “원전에 비해 소외돼 온 방사선산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며 “이를 탈원전을 우려하는 원자력 설비산업과 기술인력의 출구전략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