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뀌는 에너지 패러다임… 탈탄소화·분산화 흐름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은 ‘에너지 전환’을 비전으로 삼았다. 2017년 기준 재생에너지 7.6%, 분산전원 12%에 불과한 비중을 30% 이상까지 끌어올리는 게 목표다. 석탄은 과감히, 원전은 점진적인 축소 방안도 담겼다. 탈탄소화·분산화라는 세계적 흐름을 따라잡기에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등은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박진호 산업부 R&D전략기획단 에너지산업 MD는 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1회 공공에너지 R&D 컨퍼런스’에서 “탈탄소화와 분산화라는 세계적인 에너지 지평의 변화 흐름 속에서 재생에너지 기술 혁신과 시장메커니즘의 변화를 동시에 이뤄야 한다”고 말했다.

박진호 산업부 R&D전략기획단 에너지산업 MD가 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1회 공공에너지 R&D 컨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서창완 기자) 2019.6.6/그린포스트코리아
박진호 산업부 R&D전략기획단 에너지산업 MD가 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1회 공공에너지 R&D 컨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서창완 기자) 2019.6.6/그린포스트코리아

박 MD는 국내 에너지 전환이 필요한 이유 5가지로 △세계적 에너지 패러다임 변화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요구 △에너지 신기술의 진보 △정체된 에너지 산업 △무역장벽 등 수출환경 변화를 꼽았다.

에너지 패러다임은 재생에너지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지난해 발표한 에너지원별 세계 에너지 소비 전망을 보면 석탄은 줄어들고 재생에너지와 천연가스가 석유와 함께 크게할 전망이다. 관련 신기술도 지속 개발되고 있어 이를 통한 수송 분야 혁신, 전력 공급 시스템 보급 등 노력이 필요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은 2017년 기준 전체 에너지 중 재생에너지 부문에 73.2%(1390억달러)를 투자했다. 화석연료와 원자력은 각각 430억달러(22.6%), 8억달러(4.2%)에 불과했다.

박 MD는 “폭발 사고와 미세먼지 등으로 국민의 안전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는 데다 재생에너지 비용이 줄어들고 있는 점도 에너지 전환이 필요한 이유”라고 설명했다.

반면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은 아직 미흡하다. 통계청 등 자료를 종합해 보면 2016년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은 2.2%로 독일 29.3%, 영국 24.7%, 미국 14.9% 등과 비교해 현저히 떨어졌다. 에너지산업 종사자수도 화력·원자력 부문의 30% 정도에 그쳤다.

2018 에너지통계연보를 통해 국내 에너지 수요를 살펴보면 1차 에너지 분야가 부진한 상황이다. 반도체 등 특정 업종을 제외한 전체 산업군이 에너지를 많이 쓰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박 MD는 에너지 효율이 높아져서라기보다 생산량이 줄었기 때문이라며 발전소를 더 지을 만큼의 에너지 활동이 없다고 밝혔다.

박 MD는 “에너지산업이 외형 성장을 선택할 수 없는 환경이다. 에너지 정보 데이터 구축, 효율 증진 등을 책임질 신산업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출환경에도 변화가 시작됐다. 현재 구글과 애플, BMW, GM, 아마존 등 175개 글로벌 기업들은 공장과 사무실,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를 모두 재생에너지로 채우자는 ‘RE100’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은 국내 기업을 포함한 하청업체에도 재생에너지를 100% 사용해 만든 제품을 납품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국내 기업들도 RE100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재생에너지에 따로 요금을 매겨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녹색요금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녹색요금제가 기업들에는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일자 ‘재생에너지 기업 전력구매계약(PPA)’ 도입도 검토하기로 했다.

또한 정부는 산업기술 R&D 투자 전략으로 ‘쾌적하고 스마트한 에너지·환경’이란 비전 아래 수소·태양광·풍력 등 핵심 에너지와 청정 생산에 집중한다는 기술개발(R&D) 투자 전략을 세워 추진 중이다. 또한 데이터·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중소·중견기업 기술 경쟁력 제고를 위해 집중투자한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