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서울의대 연구팀 규명…"정상세포에서 시작될 수 있어"

우짜자
흡연과 관계없이 폐암에 걸리는 경우를 이해할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본사 DB)

[그린포스트코리아 양승현 편집위원] 살다 보면 일생동안 담배 근처에도 가보지 않았는데 폐암으로 사망하는 경우를 적잖이 볼 수 있다.

남녀노소에도 별다른 차이가 없는 이런 경우를 볼 때 흔히들 "간접흡연때문인가?" 라며 고개를 갸우뚱하고는 한다.

이같은 의문에 어느 정도 답이 가능한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비흡연자한테서 폐암을 일으키는 유전체 돌연변이는 10대 이전 유년기부터 나타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그것이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주영석 교수와 서울대 의대 흉부외과 김영태 교수 공동 연구팀은 흡연과 무관한 환경에서도 융합유전자 때문에 폐 선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폐암은 전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암종으로 원인 인자로는 흡연이 1순위를 차지하나, 비흡연자라도 폐암에 걸리는 사례가 빈번하다.

흡연과 관계없는 폐암의 경우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돌연변이 또는 융합유전자 생성이 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폐 선암(비소세포 폐암의 일종) 10%가량은 유전체 구조 돌연변이를 내포하는 융합유전자 때문에 발생하는데, 돌연변이 생성 과정에 대해서는 알려진 게 거의 없다고 한다.

공동 연구팀은 138개의 폐 선암 사례 전장 유전체 서열 데이터(whole-genome sequencing)를 분석,이를 통해 암세포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전체 돌연변이를 찾아냈다.고 밝혔다.

특히 융합유전자를 생성하는 유전체 구조 변이 특성을 집중적으로 규명한 연구팀은 70% 이상의 융합유전자가 유전체 산산조각 현상 같은 복잡 구조 돌연변이에 의해 생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이사항은 복잡 구조 돌연변이가 폐암 진단 수십 년 전부터 이미 발생할 수 있다는 점으로 특정 구조 변이 발생 시점을 통계적으로 추정한 결과다.

지질학에서 연대를 측정하는 것과 비슷한 원리로 이해하면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일부는 10대 이전 유년기 때부터 융합유전자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런 결과는 암을 일으키는 융합유전자 돌연변이가 흡연과 관련 없이 정상 세포에서 시작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것

이번 성과 도출에는 유전체 빅데이터를 정밀 분석한 국가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 역할이 컸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이날 셀(Cell) 온라인판에 실린 이번 논문에는  미국 하버드 의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국립암센터 연구진도 함께 이름을 올렸다.

yangsangsa@greenpost.kr

키워드

#Cell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