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자원 선순환 체계 구축’ 위한 전략 모색
‘산림자원 순환경제 정책연구 TF’ 출범...관련 세미나 지속 개최

본격적인 TF 활동의 일환으로 지난 5월 3일 ‘목재산업 분야 현황 및 발전 방안’ 세미나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관에서 개최한 바 있다.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본격적인 TF 활동의 일환으로 지난 5월 3일 ‘목재산업 분야 현황 및 발전 방안’ 세미나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관에서 개최한 바 있다.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송철호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국내 임업 및 목재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경제적 자원으로서 산림의 가치가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위해서는 산림자원이 선순환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돼야 한다고 29일 밝혔다.

2015년 기준 우리나라가 보유한 4영급(31년생) 이상 산림면적 비율은 72%다. 나무는 수종에 따라 일정 시점이 지나면 생장과 탄소흡수가 둔화되고 미세먼지 저감 능력도 떨어지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연간 벌채되는 목재량은 임목이 자라는 생장량의 23%에 불과하다. 국산 목재의 생산 감소로 지난해 목재자급률은 2017년 16.4% 대비 1.2% 감소한 15.2%를 나타냈고 벌채량과 벌채면적 또한 각각 36%, 19% 감소했다.

연간 생산되는 국내산 원목의 69%가 칩과 보드의 원재료로 사용되고 일반 제재용으로 활용되더라도 대부분 부가가치가 낮은 가설재, 파렛트, 포장재 등으로 가공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벌채 시기에 도달한 나무를 친환경적으로 선순환시켜 목재와 목재부산물 등 산림자원의 경제적 가치를 높이기 위한 ‘산림자원 순환경제’ 정책 연구를 수행 중이다.

생장이 둔화된 나무를 잘라 가구나 건축재로 이용해 탄소를 저장하고 나무가 베어진 자리에 새로운 경제수종을 심고 가꾸면 목재와 임산물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고 일자리 창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3월 ‘산림자원 순환경제 정책연구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켰다. TF는 산림자원이 선순환 되지 못하는 장애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과제 발굴 등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산림자원 순환경제 개념도(자료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산림자원 순환경제 개념도(자료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본격적인 TF 활동의 일환으로 지난 5월 3일 ‘목재산업 분야 현황 및 발전 방안’ 세미나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관에서 개최한 바 있다. 세미나에는 TF 참여 연구진을 비롯한 산림청 관계관 등 40여명이 참석해 4가지 주제에 대한 전문가 발표와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발표자로 나선 김지훈 국산목재협동조합 이사장은 △국내 원목 생산업 및 제재업 발전을 위한 신수요 창출 △목재건축특구 지정 등을 강조했으며, 정하현 한국합판보드협회 상무는 △국내 합판·보드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품질관리의 강화 △홍보를 통한 소비자 인식 전환 등을 시급한 과제로 꼽았다.

TF는 현장을 중심으로 산림자원 순환경제의 장애요인을 도출하고 발전적인 지향점을 모색하기 위해 현장-연구-정책 이해당사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현장 전문가 초청 토론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배재수 산림산업연구과장은 “목재생산시대를 맞이해 산림자원 순환경제 구축의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며 “국립산림과학원은 앞으로 국산 목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산림자원의 부가가치를 높여 산림산업의 육성과 산주의 소득을 높일 수 있는 정책 연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song@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