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구입단가 급등 때문" vs. "원전 이용률 큰 폭 상승"

 
전남 나주 한국전력공사 본사 전경(본사 DB)
전남 나주 한국전력공사 본사 전경(본사 DB)

[그린포스트코리아 양승현 편집위원] 한국전력이 올해 1분기 6299억원 영업적자를 기록했다고 14일 공시한 것과 관련, 원인과 배경을 놓고 정부 에너지정책을 비판하는 쪽과 그렇지않다는 정부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탈원전 등 정부의 에너지정책을 비판하는 진영에서는 신재생에너지(수력 제외) 전력 구입 단가가 지난 3년새 무려 56%나 급등한 것이 한전 경영실적 악화의 가장 큰 배경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올해 1분기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전력 구입량은 전체 구입량의 5.5%에 불과했지만 전력 구입비용은 전체의 9.4%에 달했다는 것.

전력 구입단가가 2016년 1분기 kwh당 122원에서 올해 1분기 190.3원으로 68.3원 비율로는 56% 급등한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반면 올 1분기 원전 전력 구입량은 전체의 25.5%였지만 구입비는 전체의 15.3%에 그친데다 kwh당 전력구입단가도 66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외려 11.6% 떨어졌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결국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늘수록 한전의 전력구입비 부담은 커질 수 밖에 없다는 논리다.

그러나 정부와 한전은 적자 확대가 탈원전이나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정부 정책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한전은 "적자의 주요 원인이 국제 연료가 상승으로 민간 발전사로부터 사들이는 전력구입비가 7000억원 가량 늘어난데다 전력판매량 감소로 수익이 3000억원 정도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와관련, 많은 국민들은 찬반 양쪽의 논리 전개를 떠나 한전의 재무구조가 악화되면 결국 전기료 인상으로 이어지지 않겠느냐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한전은 2008,2010,2011년 등 영업 손실을 기록했거나 적자를 낸 이듬해에는 모두 전기료를 인상했기 때문이다.

yangsangsa@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