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간 반입 중단… 11월까지 장기화 가능성
2600드럼만 조사? 방폐장 2만여드럼도 고려해야

경주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방폐장)이 5개월째 운영 중단 상태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홍보영상 캡처)
경주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방폐장)이 5개월째 운영 중단 상태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홍보영상 캡처)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시설인 경주 방사성폐기물처분시설(방폐장)이 5개월째 운영 중단 상태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에 구멍이 뚫리면서 앞으로 고준위 방폐장 건설 등 더 큰 문제가 닥치기 전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한국원자력환경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30일 한울원전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1000드럼(드럼당 200ℓ)을 경주 방폐장에 들여놓은 뒤 현재까지 방사성폐기물을 반입·처분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지난 2015~2017년 경주 방폐장으로 이송된 원자력연구원 폐기물 2600드럼 중 945드럼에서 ‘핵종 분석’ 오류가 발견되면서 시작됐다.

원자력환경공단은 경주시의회와 경주월성원전·방폐장민간환경감시기구가 폐기물 반입과 처분을 중단하라고 요구함에 따라 반입 중단을 결정했다. 반입 중단은 지난해 12월 21일부터 이어졌다.

반입 중단 장기화는 앞으로 5개월 이상 더 이어질 전망이다. 지난 1월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 결과가 오는 11월쯤에야 나올 것으로 예상돼서다. 민관합동조사단은 감시기구 4명, 경주시 1명, 주민대표 4명, 전문가 4명, 시민단체 1명, 원자력환경공단 3명, 원자력연구원 2명으로 구성됐다.

민관합동조사단 관계자는 “공단과 원자력연구원이 제공한 자료를 방폐물과 해수 분야 전문가들이 검토하고 있다”면서 “충분히 검토해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사단을 비롯한 원자력 안전 전문가들은 문제가 된 2600드럼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원자력안전 전문가로 구성된 원자력안전연구회 측은 “현재 연구소에서 방폐장으로 보낸 2600드럼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경주 방폐장에 있는 2만여 드럼도 핵종 분석 오류를 검토해야 한다”면서 “같은 기관과 설비로 분석했는데, 한쪽은 맞고 한쪽만 틀렸다고 생각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경주 방폐장에 바닷물이 유입되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원자력환경공단은 이에 대해 “유입되는 건 해수(바닷물이 섞인 물)로서 해안 지역에서 염소이온 농도가 4% 수준”이라며 “2014년에 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심사를 받을 때 해수가 50% 정도 유입되는 조건에서도 콘크리트가 내부 성능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서도 원자력안전연구회에서는 “염소이온이 조금이라도 섞여 있다는 건 바닷물이 들어왔다는 말인데, 설계 당시에는 바닷물이 안 들어오는 조건이었다”라며 “소량이라도 들어온다는 게 확인됐다면, 비가 많이 오는 등 상황에서는 더 많이 바닷물이 유입될 수 있어 방지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원자력환경공단은 측은 “경주 방폐장 문제는 지역 주민들과 따로 갈 수가 없는 문제인 만큼 충분히 협의해 조기에 정상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