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네트워크 전망

(Pixabay 제공) 2019.04.11/그린포스트코리아
(Pixabay 제공) 2019.04.11/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홍민영 기자]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악영향을 미치면서 아시아 지역 투자자들의 자산이 크게 손실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네트워크(GSCC)는 11일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매뉴라이프, 기후변화에 관한 아시아 투자자 그룹(AIGCC), 중국수자원리스크(CWR)가 공동으로 발간한 ‘아시아 연기금은 기후변화에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Are Asia’s Pension Funds ready for Climate Change?)’ 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가 지금처럼 가속될 경우 이에 따른 수자원 위기가 아시아 금융시장에 직접 타격을 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아시아의 경우 강과 하천 인근에 인구와 투자가 집중돼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고 설명했다. 만약 기후변화로 인한 물 부족 문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면 아시아지역 자산 소유기관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심각한 손실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수자원 보안 싱크탱크인 중국수자원리스크는 4조3000억달러 규모의 GDP와 아시아 전체 인구의 절반이 10개 강 주변에 몰려 있으며 이 중 4곳의 유량이 앞으로 50년에 걸쳐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나 아시아 금융기관들은 이런 위협에 대비를 전혀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산 위협의 구체적인 예로 해수면 상승, 강한 폭풍이 물류시스템에 영향을 주면서 수출이 입는 타격을 꼽았다. 또 극단적으로 변화하는 날씨로 인해 인구 밀집지역이 위기에 처하게 되면 '워터노믹스(물 경제)' 정책으로 인한 규제 강화도 지역 금융 상황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한국 주가지수(코스피)와 일본 주가지수(닛케이225)가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금융부문 의존도가 높은 홍콩 주가지수(항셍 인덱스)나 싱가포르 주가지수(스트레이츠 타임즈 인덱스)는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파리기후협정에 따라 전면적 기술 혁신을 추진할 경우 가장 큰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곳도 아시아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산 소유기관의 자국 내 투자가 해당 국가 GDP의 25~45%에 달하는 아시아지역 특성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아시아지역 연기금과 자산 투자기관이 기후변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 투자 문제는 더 나은 성과로 이어질 것”이라 강조했다.  

아울러 투자자들에게는 수자원 및 기후변화 리스크를 분석하기 위한 조치를 마련하고 자산 가치를 따질 때도 ‘워터노믹스’를 비롯한 관련 규제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해당 보고서는 한국, 중국, 일본, 싱가포르, 인도 등 아시아 12개국 공적 연기금과 국부 펀드, 중앙은행 등 30개 대형 금융기관이 운용하고 있는 자산을 조사해 발표됐다. 

hmy1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