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유역환경청, 유인도서 번식 성공 최초 확인

백로과 여름철새인 노랑부리백로. (환경부 제공)
백로과 여름철새인 노랑부리백로. (환경부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환경부와 한강유역환경청은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인 노랑부리백로와 저어새가 유인도인 백령도에서 번식에 성공한 것을 처음 확인됐다고 9일 밝혔다.

한강청 생태계 변화관찰 조사단은 지난해 5월부터 실시한 ‘백령도 생태계 변화관찰’로 노랑부리백로 19쌍(번식둥지 확인)이 번식에 성공한 것을 확인했다. 노랑부리백로 번식지 주변에서 3쌍의 저어새가 둥지를 지어 새끼 3마리씩(총 9마리)을 기른 모습도 목격됐다.

노랑부리백로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적색목록에 포함시켜 취약(VU, Vulnerable)종으로 평가하는 국제적인 보호조류다. 몸은 흰색이고, 부리와 발이 노란색이다.

세계적으로 알려진 노랑부리백로 번식지는 한반도 서해안 일부와 중국 동남부, 러시아 남부의 두만강 접경지역 무인도다. 국제습지연합의 2016년 추산에 따르면 전 세계 3000~4100마리 정도의 개체군이 남아 있다.

저어새과 여름철새인 저어새. (환경부 제공)
저어새과 여름철새인 저어새. (환경부 제공)

저어새 역시 IUCN 적색목록에서 위기(EN, Endangered)종으로 분류된 국제 보호조류다.

몸은 흰색이며, 긴 주걱 모양으로 주름이 많고 검은 부리가 특징이다. 저어새는 동아시아 지역에서만 서식하며 세계적으로 알려진 번식지는 한반도 서해안과 중국 동부의 무인도다.

홍콩조류협회가 지난 2018년 실시한 국제 저어새 동시조사로 확인한 전 세계 개체군은 3941마리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이번 조사 중에 국내 생육지가 확인되지 않았던 북방계식물인 가는쑥부쟁이 20여개체도 백령도에서 최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가는쑥부쟁이는 중국 동북부, 몽골, 시베리아 등 동북아시아 고위도 지역인 온대북부에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이다.

한강청 생태계 변화관찰 조사단은 가는쑥부쟁이의 이번 발견은 식물지리학적 측면에서 백령도가 한반도 최남단의 유일한 생육지를 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0월에는 인천에서 서남쪽 직선거리로 70㎞ 떨어진 백아도에서 희귀식물이자 수생식물인 물여뀌의 자생지를 발견하기도 했다. 이전까지 물여뀌 생육지는 경상도 지역에서만 발견됐다.

나정균 한강유역환경청장은 “이번 생태계 변화관찰에서 확인된 멸종위기종의 번식지 및 희귀식물 생육지 발견은 우리나라 자연 생태계의 학술적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