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추동마을, 남전주 인터체인지 위치에 반대
소음·매연·진동 피해 심각… 사방이 도로에 갇혀
“이격거리 168m인 원안 수준만이라도 지켜라”

새만금~전주 고속도로는 새만금 3*3 간선교통축 중에 동서 2축에 해당된다. (새만금개발청 홈페이지 캡처)
새만금~전주 고속도로는 새만금 3*3 간선교통축 중 동서 2축에 해당된다. (새만금개발청 홈페이지 캡처)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도로에 둘러싸여 고립될 처지에 놓인 마을이 있다. 78가구에 평균연령 65세 이상 주민 160명이 농사지으며 사는 전주 추동마을이다. 완주군과 인접한 이곳은 이미 좌로 21번 국도, 우로 27번 국도에 가로막혔다. 2024년 개통 예정인 남전주 인터체인지(IC)까지 완공되면 추동마을의 숨통은 완전히 막힌다. 남전주 IC는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6공구에 들어선다. 

주민들은 지난달 5일 전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남전주 IC 설치 계획의 무효화를 촉구했다. 그 뒤로 일주일 넘게 천막농성을 펼쳤다. 농성 5일만에 2명 중 1명이 병원으로 옮겨지는 등 8일간 고충을 겪었다. 공사를 맡은 한국도로공사측이 최대한 의견을 반영하겠다고 말해 농성은 일단 접은 상태다.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남전주 IC가 들어설 위치가 마을과 너무 가까워서다. 추동마을 북서쪽에 놓이는 남전주 IC는 당초 168m 거리를 두고 들어설 예정이었다. 이 거리는 시공사 기술제안을 받으면서 채택된 변경안에서 100m로 줄어들었다. 주민들은 100m 거리에 남전주 IC가 들어서면 생존권과 환경권이 심각하게 침해받는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미 비슷한 상황을 겪은 적이 있어 공포감은 더 크다. 

주민들의 고통은 12년 전에 21번 국도(4차선)가 개통되면서 시작됐다. 도로와 가까운 집의 직선거리가 100m도 채 되지 않는다. 그때만 해도 소음·먼지로 인한 고통의 수준을 가늠하지 못했다. 

임채동 추동마을 주민대책위원장은 “마을과 21번 국도의 직선거리가 채 50m도 안 된다”면서 “소음도 심하고, 차에서 나오는 매연 때문에 하얀 빨래는 햇볕에 말리지도 못 하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주민들을 괴롭히는 건 소음·먼지뿐이 아니다. 21번 국도와 가까운 집에서는 진동 피해까지 겪고 있다. 임 위원장은 근처 사는 주민들이 겪는 진동 피해를 ‘지진’에 비유했다. 21번 국도가 들어선 뒤 폐암을 겪은 주민들도 부쩍 늘었다. 모두 7명이 폐암으로 숨졌다. 현재 폐암 투병 중인 주민도 4명이다. 모두 비흡연자다. 

도로가 불과 50m 정도 거리에 있는 데도 방음벽은 설치되지 않았다. 1년 내내 소음에 시달려야 하는 이유다. 김종곤 추동마을대책위 청년위원장은 동네를 가리거나 먼지를 막아줄 나무라도 심었다면 사정이 조금은 나았을 거라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 100m 거리에 남전주 IC가 들어선다고 하니 농사만 짓던 주민들도 가만있을 수는 없었다.

김 청년위원장은 “우리는 도로를 아예 짓지 말자는 게 아니다. 원안인 168m 거리도 멀지는 않지만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면서 “딸기 농사지으며 살아가는 대부분의 마을 사람들에게는 생존권 문제”라고 말했다. 

다만, 변경안을 바라는 민원도 있다. IC 인근 농경지 소유 주민들이다. 한국도로공사측 설명에 따르면 이들은 원안대로 착공할 경우 시도 4호선이 고속도로 램프 안으로 갇혀 차단되면서 농경지 접근이 힘들다는 이유를 들어 100m 거리인 변경안을 요구하고 있다.

김 청년위원장은 “그들은 추동마을에 직접 사는 주민들이 아니라 변경안 IC 쪽에 토지만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면서 “동네 주민들은 어떻게 되든 상관 없이 보상만 바라고 있다”고 아쉬움을 표시했다. 

도로공사와 대책위 측은 큰 틀에서의 합의는 이뤘다. 도로공사는 추동마을에서 이격거리가 160m인 제3안을 검토 중이다. 도로공사에 따르면 이격거리는 원안 수준으로 늘리면서 시도 4호선도 개방되게 해 양쪽이 조금씩 양보하는 방향으로 변경하겠다는 계획이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