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사건 71주년 추념식 열려

70년 만에 무죄를 선고받은 도민들이 제주지법 앞에서 만세를 부르고 있다. (제주4.3평화재단 제공) 2019.04.03/그린포스트코리아
70년 만에 무죄를 선고받은 도민들이 제주지법 앞에서 만세를 부르고 있다. (제주4.3평화재단 제공) 2019.04.03/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홍민영 기자] 올해로 71주년을 맞은 제주 4‧3사건 추념식이 3일 오전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열렸다.

이날 추념식에는 제주도민을 포함해 이낙연 국무총리, 이해찬 더불어민주당·황교안 자유한국당·손학규 바른미래당·정동영 민주평화당·이정미 정의당 대표 등 정치권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이 총리는 추념식에서 “문재인 정부는 4.3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역사의 소명으로 받아들였다”며 “도민들이 ‘이제 됐다’고 할 때까지 4.3의 진실을 채우고, 명예를 회복해 드리겠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이날 희생자 유해 발굴, 실종자 확인, 유가족 지원 확대, 평화재단 출연금 확대를 이어가겠다고 약속했다. 

이 총리는 “4‧3사건 이후, 연좌제와 사회의 낙인이라는 어려움 속에서도 도민들은 꿋꿋이 진실을 끄집어내고 모두가 희생자라며 서로를 용서하고 끌어안았다”며 “진정한 용서와 화해는 진실의 은폐와 망각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닌 진실의 직시와 기억의 바탕 위에서 비로소 이루어진다는 것을 깨우쳐주었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또 “71년 전 찬란한 4월의 봄, 이념의 광기와 폭력에 짓밟혀 참혹하게 희생된 4·3영령들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에게 깊은 위로의 말을 전한다”고 추모의 뜻을 밝혔다. 

앞서 정부는 희생자 130명과 유족 4915명을 추가확인했다. 이로써 공식 희생자는 1만4363명, 유족은 6만4378명으로 늘었다. 

제주 4‧3사건은 1947~1954년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무고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광복 직후 제주는 후퇴하는 일본군과 새로 투입된 미군정, 외부에 나가 있던 도민들의 일시 귀환 등으로 혼란스러운 상태였다. 이 와중에 남한단독선거가 치러졌고, 이를 반대하며 통일정부 수립을 주장하던 남로당이 1948년 4월 3일 제주에서 무장봉기했다. 무장대를 제압하려던 이승만 정부‧미군정은 제주가 ‘좌익단체의 거점’이라 판단하고 민간인까지 무차별 학살했다. 무장대에 참여한 사람들은 대부분 청년이었기에 가족 일원 중 청년이 없으면 무조건 전원을 참살하거나, 죄 없는 수백 명의 주민들을 일제히 총살하기도 했다. 무차별 학살은 1954년 9월 21일까지 7년 7개월 동안 이어졌다. 현재까지 추정된 희생자 수는 2만5000명~3만명 이상이다. 3만명은 당시 제주 인구의 10% 수준이다.

사건 이후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요청으로 2000년 1월 12일 김대중 정부는 ‘제주4‧3사건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공포했다. 그해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가 발족해 진상조사를 실시했다.

2003년 10월 31일 진상조사위원회 의견에 따라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국가권력에 의한 대규모 희생이 있었음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문을 발표했다. 2008년 제주4‧3평화공원이 개관했다.

지난해 1월 제주지방법원은 4‧3사건 수형인 전원 무죄를 선고했다. 이른 바 ‘내란죄’로 억울하게 옥살이를 했던 도민들이 70년 만에 자유를 얻은 것이다. 그해 제주에서 열린 추념식에는 역대 대통령 중에서는 두 번째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해 국가폭력을 공식 사과하기도 했다. 

지난 2일에는 국방부가 제주 4‧3사건 71주년을 맞아 공식사과나 유감을 표명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날 노재천 국방부 부대변인은 “국방부 입장표명이 있을 것”이라며 “장관 또는 차관이 할지, 어떤 방식으로 할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그동안 제주 4‧3사건은 군과 경찰이 투입돼 무장봉기를 진압한 사건이라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한편, 이날 열린 추념식에서는 도올 김용옥, 배우 유아인 등이 출연하는 세대 전승 퍼포먼스를 비롯해 헌화, 경과보고, 추념사, 유족사연 낭독회, 추모공연 등이 이어졌다. 오는 5월 31일까지 제주 곳곳에서 거리굿, 예술기행, 전시회 등 각종 문화행사도 열릴 예정이다. 

hmy1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