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시민·사회단체 “수질 개선 안 되면 해수유통하자” 제안

기사와 관련이 없는 픽사베이 자료사진입니다.
기사와 관련이 없는 픽사베이 자료사진입니다.

[그린포스트코리아 채석원 기자] 전북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새만금호를 1년간 담수화한 뒤 해수유통 여부를 최종 결정하자고 제안했다. 1년간 담수화를 해보고 목표 수질에 도달하지 못하면 해수를 유통하다는 제안이다. 전북녹색연합 등 18개 시민·사회 단체로 ‘2020 새만금해수유통 전북행동’은 21일 성명서를 발표해 이처럼 밝혔다.

정부는 1991년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협의를 통해 2001년까지 수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했고, 2001년 ‘새만금호 수질보전대책’을 통해 또다시 2011년까지 목표 수질을 달성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2011년엔 ‘새만금유역 2단계수질개선대책’을 발표해 2020년까지 목표 수질을 달성하고 담수화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또한 2015년엔 2단계 수질개선대책에 대한 중간평가를 통해 2020년까지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다고 재차 예측했다.

하지만 단체에 따르면 네 번에 걸친 정부의 예측은 단 한 번도 맞은 적이 없으며, 4조원이 넘는 천문학적인 예산을 투입하고도 목표 수질을 달성하긴커녕 새만금호 수질은 더욱 악화됐다. 이와 관련해 단체는 “정부의 일방적인 가상(모델링) 수질평가를 반대하며 투명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질평가를 실시할 것을 요구한다”고 했다.

단체는 “28년째 지속되고 있는 새만금 수질논란이 더 이상 지속돼서는 안 된다. 2020년엔 반드시 새만금 수질 논란에 마침표를 찍어야 한다”면서 “수질 논란을 종식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하고 정확한 방안으로 2019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1년간 새만금호의 담수화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질을 평가해 새만금호 해수유통 여부를 최종 결정할 것을 정부에 제안한다”고 했다.

단체는 “1년간의 담수화 실험을 통해 2020년 목표수질을 달성한다면 2020새만금전북행동은 정부의 어떠한 결정도 겸허히 수용하겠다. 그러나 2020년에 목표 수질을 달성하지 못한다면 정부는 즉시 해수유통으로 새만금 수질관리계획을 바꿔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단체는 “지난해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의 조사에서 새만금 수라갯벌에 황새와 저어새, 노랑부리백로 등 멸종위기 1급 조류 6종, 검은머리갈매기 등 멸종위기 2급 조류 11종이 서식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전 세계에 4000여 마리가 생존하고, 90% 이상이 한국에서 번식하는 저어새는 새만금을 중요한 먹이터로 이용하고 있다. 또 검은머리갈매기도 새만금에서 번식하는 것이 확인됐다. 그러나 정부는 이러한 멸종위기종에 대한 어떠한 실효 있는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단체는 “1991년 새만금사업을 시작할 당시 정부는 새만금지역에 법적보호종이 검은머리물떼새, 큰고니, 알락꼬리마도요 3종이 서식하나 모두 철새이기 때문에 환경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해 아무런 보호대책도 세우지 않았다”면서 “그러나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이 2003년부터 새만금에 서식하는 조류조사를 실시한 결과 40여종의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현재는 17종만이 도래하는 상황이다. 새만금 내의 갯벌 중 80~90%가 간척사업으로 이미 사라지거나 훼손됐기 때문이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멸종위기종에 대한 보전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했다.

단체는 “새만금의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수라갯벌과 해창갯벌은 반드시 보전돼야 한다”면서 “보전 조치와 함께 해수유통을 실시한다면 수라갯벌과 해창갯벌은 새만금을 증언하는 생태박물관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단체는 “수라갯벌의 기능을 근본적으로 상실케 만드는 새만금남북도로의 설계를 변경할 것을 요구한다”면서 “남북도로의 설계변경을 통해 바닷물이 수라갯벌로 계속해서 드나들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jdtimes@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