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무중단 Active-Active 재해 대응 환경. (기상청 제공)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무중단 Active-Active 재해 대응 환경. (기상청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기상청은 정부기관 최초로 내부 핵심 업무시스템에 클라우드 기술을 전면 도입한다고 21일 밝혔다.

클라우드 기술은 ‘구름’이라고 표현되는 가상 공간에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데이터 등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자원을 논리적으로 구성해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기상청은 지난해 종합기상정보시스템 1차 연도 사업으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했다. 이어 이날부터 자료개방포털 등 21개 서비스를 클라우드로 전환해 운영한다. 

아울러 2021년까지 △인프라 △컨테이너 △플랫폼 서비스 등 단계적으로 클라우드 기술을 확대 적용해 나갈 예정이다.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인프라(서버, 저장장치, 보안통신장비)를 원하는 사람에게 가상의 자원으로 구성해 제공한다. 

컨테이너 서비스는 소프트웨어 하나를 여러 개로 분할해 개별 효율성을 높이고 부하 증가에 따라 쉽게 자동 확장되도록 관리하려는 목적이다.

플랫폼 서비스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각종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전산자원, 데이터, 라이브러리 등을 통합 플랫폼 형태로 제공하게 된다.

기상청은 2021년까지 클라우드 기반 재해복구체계도 구현해 실시간 중단 없은 재해 대응과 업무 연속성 유지도 꾀할 예정이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클라우드 기술 활용으로 기상업무가 발전하고 국내 정보통신기술(IT) 신산업 분야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