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수소충전소 설치·체계적 안전관리 방안 토론회
“초기 단계 이동형·패키지형 충전소 효과 있을 것”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정부 수소 경제 정책 방향에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수소 보급과 활성화는 필요하지만 목표가 지나치게 높으면 단기 숫자 채우기에만 집중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수소충전소 설치 및 체계적 안전관리 방안 모색’ 토론회에서 박진남 경일대학교 신재생에너지학부 교수는 “초기 시장에서 이동형과 패키지형 수소충전소를 활용해 투자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권칠승(더불어민주당) 의원 주최로 ‘수소충전소 설치 및 체계적 안전관리 방안 모색’을 주제로 열렸다.

박진남 경일대학교 신재생에너지학부 교수가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수소충전소 설치 및 안전관리'란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서창완 기자) 2019.3.20/그린포스트코리아
박진남 경일대학교 신재생에너지학부 교수가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수소충전소 설치 및 안전관리'란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서창완 기자) 2019.3.20/그린포스트코리아

수소충전소는 구축 방식에 따라 일반형, 패키지형, 이동형으로 나뉜다. 일반형은 흔히 보는 주유소 형식이지만, 예산이 많이 들어 초기 구축 자금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박 교수에 따르면 이런 단점을 패키지형(압축기, 냉각기 등을 컨테이너에 구성)과 이동형으로 보완할 수 있다.

특히 박 교수는 대형 트럭과 같은 이동 차량 위에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는 이동형 충전소의 확충을 강조했다. 제한된 예산에서 소비자 효율을 따져봤을 때 비용 대비 효과가 훌륭한 방식이라는 설명이다.

수소차 초기 시절 개발이 꽤 이뤄졌던 350기압 충전 방식도 살릴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350기압 방식은 700기압보다 주행거리는 짧지만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급속 충전에서 오는 열 발생 등이 적어 냉각기 설치 등의 부담이 적어서다. 국산 설비가 꽤 갖춰져 있다는 점도 있다.

박 교수는 “수소충전소 기반 확충 과정에 350기압과 700기압 방식을 적절히 섞어서 건설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충전소 설립 지원 비용도 세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일본처럼 종류·규모 등에 따라 예산에서 얼마만큼의 비율로 지원하는 일본 방식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충전소 한 기당 15억원으로 예산이 고정돼 있다.

운영비 절감을 위해 국유지 임대료를 75~100%로 조정해 초창기 사업자 압박을 줄이는 방법도 제시됐다. 수소충전소와 생산설비가 하나로 묶일 때만 그린벨트에 건립할 수 있도록 한 법상 허점도 개선할 필요성이 있어 보였다. 수소 버스 등 큰 차량용을 건설할 때는 생산 설비와 충전소가 분리될 수 있어서다.

수소충전소 안전관리 확보를 위해 현행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한계를 보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액화수소 자동차충전소 설치기준을 마련하고, 충전 프로토콜 표준도 도입하는 등 국내 환경에 어울리는 개발 필요성도 제기됐다.

허영택 한국가스안전공사 기준처장. (서창완 기자) 2019.3.20/그린포스트코리아
허영택 한국가스안전공사 기준처장. (서창완 기자) 2019.3.20/그린포스트코리아

허영택 한국가스안전공사 기준처장은 “현행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서는 저압수소 안전관리 규정이 미흡하다”면서 “수소산업의 체계적 지원과 안전관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관련 법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허 처장은 부품 불량이 대형사고로 연계될 수 있는 만큼 부품 인증기준을 국제 기준에 맞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는 고압가스시설에 사용되는 부품에 KS제품을 사용하도록 의무화하는 법안은 마련됐으나 국제기준 부합화 작업은 미진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수소충전소는 모두 11기가 운영 중이다. 이중 서울 2곳(양재, 상암)은 연구용으로 건설돼 용량이 크지 않다. 현재 21기 수소충전소가 건설 중이다. 박 교수는 안전관리와 초기 예산 측면에서 현실 가능한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는 우려 섞인 조언도 내놨다. 충전소 건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외 자금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서다.

이어 민간과 정부 측에서 수소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유종수 하이넷 대표는 유통거리에 따른 수소가격 편차, 도심지로 갈수록 부지가격이 높아지는 문제 등으로 충전소 위치 선정이 제약 받고있는 점을 지적했다.

박윤민 환경부 대기환경과장은 수소차 보급 실적이 증가하는 속도에 비해 수소충전소는 입지 제한 등 제약으로 증가율이 다소 부족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박 과장은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총 310개소 구축 계획 달성을 위해 수소자동차 보급·수소 생산·공급 연계, 비즈니스 모델 마련과 민간 중심전환, 중앙·지자체·민간 업체 협업 체계 강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용욱 국토교통부 도로정책과장은 수소차로 전국을 다닐 수 있도록 2022년까지 전국 고속도로에 총 60기 충전소를 구축해 수소 하이웨이를 구축하겠다고 설명했다.

이희원 산업부 에너지안전과장은 “현재 수소연료의 생산-운송-충전-사용 전주기에 대한 단계별 안전관리를 실시 중”이라며 “수소충전소는 기기, 시설, 인력 등 분야별 안전관리 체계를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