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금속·농약 등 민감 반응 확인

국내(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에서 확보된 생이가래의 형태.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국내(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수리)에서 확보된 생이가래의 형태.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생식물 ‘생이가래’가 중금속 ·농약성분 등 유해화학물질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최근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안윤주 건국대 교수 연구팀과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국내 자생종을 이용한 생태관리 시험종 국산화·표준화’ 과제로 생이가래를 연구했다.

연구팀은 경기 양평군에서 채집한 생이가래를 중금속인 니켈(0.25~2mg/L)에 노출시켜 7일간 관찰해 보니 반수영향농도(EC50)는 0.9mg/L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 결과인 외래 시험어종(붕어)의 니켈에 대한 반수영향농도(EC50)인 2.14mg/L와 비교하면 낮은 값이다.

반수영향농도(EC50)는 시험에 사용된 식물을 독성 처리했을 때 반수(50%)의 잎 수 및 잎 면적 감소 등을 나타내는 농도다.

이 독성값이 낮은 생물일수록 민감한 독성시험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또 농약성분인 아세페이트(1~300mg/L)에 노출시켜 관찰한 결과 농도 증가에 따른 잎의 숫자와 면적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생태독성 시험종으로는 유의미한 결과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앞으로 외래생물종과의 추가 비교실험, 환경호르몬 등 다른 유해화학물질과의 반응을 실험해 생이가래가 생태독성 표준시험종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추가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생태독성은 특정 종류의 화학물질이 국내 생태계의 기능과 안정성, 생물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생이가래가 생태독성 표준시험종으로 채택되려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국제표준화기구(ISO) 등 국제 공인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한다.

현재 ‘물환경보전법’과 ‘농약관리법’에 따르면 수생태계 생태독성 시험종으로 큰물벼룩, 붕어, 송사리 등 총 27종이 쓰이고 있다. 대부분 일본, 미국, 독일 등의 전문 연구기관에서 자란 생물이 활용된다.

생이가래는 국내 호수, 저수지, 연못 등에 널리 분포하는 한해살이 수생 양치식물이다. 채집이 쉽고 실험실 환경에서도 잘 자라 생태독성을 시험할 수 있는 자생식물로 기대를 받고 있다. 

서흥원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활용부장은 “생이가래와 같은 자생생물을 활용하여 유해화학물질의 영향을 평가해 건강한 수생태계 관리는 물론 자생생물의 가치 발굴을 지속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