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
산업별 체감 생산활동 제약 정도·주의보 발령일수 등 고려

지난 6일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서울 종로구의 하늘. (서창완 기자) 2019.3.6/그린포스트코리아
지난 6일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서울 종로구의 하늘. (서창완 기자) 2019.3.6/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지난해 미세먼지로 인한 손실액이 4조원대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국민 대다수는 미세먼지 원인으로 ‘중국 등 주변국 영향’을 꼽았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 15일 발행한 ‘미세먼지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보고서에서 “지난해 미세먼지로 인한 경제적 비용은 4조23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는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0.2%에 해당하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달 18~28일 전국 성인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뒤 이 같은 추정치를 내놓았다. 최대 오차범위는 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09%p다.

연구원은 산업별 체감 생산활동의 제약 정도와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일수 등을 고려해 경제적 손실 비용을 추정했다.

계산에 따르면 지난해 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하루당 손해비용은 1586억원으로 나타났다. 4조230억원은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일수인 25.4일을 곱해 나온 결과다.

설문참가자 중 71.3%는 미세먼지로 실외 활동이 힘들어져 생산활동에 제약을 받는다고 답했다. 생산활동 제약 정도가 ‘5% 초과 10% 이하’라고 답한 국민은 15.7%, ‘10% 초과 30% 이하’는 10.7%, ‘3% 초과 5% 이하’는 10.6% 순이었다. 연구원이 구간별 제약 정도의 중윗값을 가중 평균해 추산했을 때 평균 생산활동 제약 정도는 6.7%였다.

산업별로는 실외에서 일하는 농·임·어업이 8.5%로 체감 제약 정도가 가장 컸다. 기타 서비스업이 7.3%, 전기·하수·건설이 7.2%로 뒤를 이었다.

대부분의 시민들은 미세먼지 발생 원인으로 ‘중국 등 주변국의 영향’(78.3%)을 꼽았다. 미세먼지를 줄이는 방안으로는 ‘중국 등 국가와 공동연구를 통한 대기오염 상호 영향의 과학적 규명’(67.9%)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설문조사에서 시민들은 지난 1년간 미세먼지에 대응하기 위한 월평균 지출액을 계산한 결과 가구당 2만1255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다고 밝힌 응답자는 55%, 없다는 45%였다.

지불 의사가 없는 이유는 ‘세금을 내도 미세먼지가 예방될 것이라는 믿음이 없음’(47.7%)이 가장 많았다. 이어 ‘이미 납부한 세금으로 예방해야 함’(40%), ‘경제적 여유 없음’(8.8%) 순이었다. 미세먼지가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응답은 3.5%였다.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일을 반으로 줄이기 위해 지불 가능한 금액은 가구당 월평균 4530원이었다. 지불 의사가 있는 가구에 한정할 경우 월평균 8240원으로 나타났다.

설문 참가자들은 미세먼지로 인한 가장 큰 피해로 건강 악화(59.8%)와 실외 활동제약(23.5%)를 꼽았다. 또한 미세먼지로 인한 가장 큰 일상생활 변화로 ‘야외 활동보다 실내활동 증가’(37%), ‘마스크 착용’(31%) 등이라고 답했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