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xabay 제공) 2019.03.15/그린포스트코리아
(Pixabay 제공) 2019.03.15/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홍민영 기자] 지금으로부터 8년 전 2011년 3월11일 오후 2시46분, 일본 도호쿠(東北) 지방에서 일본 관측 사상 최대 규모의 지진이 일어났다. 리히터 규모 9.0. 

이 지진의 위력은 1995년 6000여명의 희생자를 낳은 한신(阪神)대지진, 일명 고베(神戶)대지진의 180배에 달했다. 1960년 칠레 대지진, 1964년 알래스카 지진, 2004년 수마트라 지진에 이어 1900년 이후 세계에서 네 번째로 강력한 지진으로 기록됐다. 

피해는 어마어마했다. 쓰나미, 건물 붕괴, 화재 등으로 인해 정부 추정 16조엔(1600조원)~25조엔(2500조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2차 피해와 사회적 피해를 감안하면 금액은 더 커진다. 사망자‧행방불명‧관련 사상자는 모두 2만2131명에 달한다.

당시 지진 피해 가운데 가장 심각한 문제는 후쿠시마(福島) 원자력발전소 사고였다. 쓰나미로 인해 발전기가 멈추면서 일부 원전이 폭발해 방사능이 외부로 누출됐다. 이 사고는 '체르노빌 사고'와 마찬가지로 국제원자력사고등급(INES)’에서 최악의 사태인 ‘7등급’을 부여받았다.

8년 지난 지금, 일본은 얼마나 달려왔을까.

해결된 문제도 많지만, 갈 길이 아직 멀다는 평가다. 

최근 아사히신문 보도에 따르면 복구작업 가운데 고지대 이전은 93%, 재해 공영주택은 98%가 완공됐다. 47만명에 달했던 피난민은 5만1778명까지 줄었다. 

하지만 후쿠시마에는 여전히 출입이 제한된 지역이 존재한다. 피해가 가장 큰 지역 중 하나인 이와테(岩手), 미야기(宮城)에서는 토지 정리작업이 계속해서 지연되고 있다.

관련 지역의 인구 감소 문제도 심각하다. 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 세 지역의 인구는 8년간 30만명이 줄어들었다. 공영주택에 입소한 피난민이 ‘고독사’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NHK에 따르면 최근 1년간 고독사 한 피난민은 76명에 이른다.

후쿠시마 지역 신문인 후쿠시마민유는 올해 4월 원전이 위치한 오쿠마(大熊)마을의 피난 지시가 처음으로 일부 해지된다고 보도했다. 후쿠시마민유는 “이미 해지된 지역도 있으나 돌아온 주민들은 전체의 23%에 지나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사고가 난 원전시설도 아직 수습중이다. 

NHK에 따르면 후쿠시마 제1원전 제2호기에서는 지난달 원료 파편으로 보이는 퇴적물에 접근하는 데 처음 성공했다. 내년에는 제1호기에서도 내부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도쿄전력은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어떤 원자로에서 어떤 방법으로 파편을 꺼낼지 방법을 모색할 방침이다.

오염수 문제도 처리해야 한다. 일부 원전 지하에 고여 있던 방사능 오염수가 지하수로 유입돼 심각한 수질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를 막기 위해 지하수를 끌어 올리거나 주변의 지반을 얼려 지하수의 유입을 억제하는 방안을 쓰고 있다. 

NHK에 따르면 아직 원전 부지 내에 존재하는 방사능 오염수 보관 탱크는 948개, 오염수의 양은 총 112만톤에 이른다.

이에 대해 원자력규제위원회는 기준 이하로 희석해 바다에 방출하는 방법을 권했으나 이는 어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지진 발생일이었던 지난 11일 일본 각지에서는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추도식이 열렸다. 아사히신문은 “동일본대지진 8년차를 맞아 다음 세대를 위한 교훈을 살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동일본대지진의 복구기간은 10년이다. 일본 정부는 2년 후 복구기관인 부흥청(復興庁)을 폐지하고 발전소 사고, 산업시설 복구 등을 관할할 새로운 조직을 설치할 방침이다. 

hmy1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