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공단, 낙석통합관리시스템 구축

국립공원 낙석계측시스템 모니터링 화면. (국립공원공단 제공)
국립공원 낙석계측시스템 모니터링 화면. (국립공원공단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서창완 기자] 암반의 경사와 균열을 실시간 측정해 기준치(5mm)를 초과하면 안내하는 시스템이 구축됐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봄철 해빙기 낙석 발생 징후를 사전에 감지해 위험상황을 안내방송으로 알리는 ‘낙석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각 국립공원사무소와 국립공원공단의 재난안전상황실에서도 해당 탐방로를 통제할 수 있도록 특화한 관리시스템이다. 

낙석통합관리시스템은 현재 설악산 비선대 및 백담지구, 소백산 희방사 진입도로, 월출산 구름다리 및 바람폭포 일대 등 총 6곳에 설치돼 있다.
 
국립공원공단은 올해 11월까지 낙석통합관리시스템을 18개 국립공원으로 확대한다. 실시간 계측자료와 경보상황 등을 전송받을 수 있는 스마트폰 앱도 개발할 계획이다.

해빙기 낙석은 겨우내 얼었던 바위가 기온에 따라 이완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자연현상이다.

바위를 지지하던 흙이 여름철 강한 비에 쓸려나가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 5년간(2014~2018년) 국립공원에서 봄철 해빙기인 2~4월 발생한 낙석사고는 총 23건이다. 지난 2014년 3월에는 북한산 인수봉에서 1명이 사망하는 등 3건의 인명피해와 9억원의 재산피해도 발생했다.

이 기간 발생한 낙석사고 33건 중 봄철 해빙기(2월~4월)에 발생한 건수가 약 70%를 수준이다.

양해승 국립공원공단 재난안전처장은 “봄철 국립공원을 산행할 때 발생하는 낙석은 예측이 매우 어려워 위험구간은 신속히 통과해야 한다”며 “낙석위험 경보음이 울리면 즉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seotiv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