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보다 주택·농업용 증감률이 더 높아

전기요금 누진제 완화 방안이 7일 발표된다. (서창완 기자) 2018.8.6/그린포스트코리아
자료사진. 2018.8.6/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소희 기자] 반도체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호황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전력소비량 증가는 경제적 요인보다 계절적 요인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반도체, 석유·화학 등 주요 에너지 다소비 업종의 연간 수출액이 전년 대비 5.5% 증가(6051억6900달러)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전력 사용은 ‘역대 최악의 폭염’이 영향을 더 많이 끼친 것. 지난해 8월 1일 서울 기온은 39.6도로 1907년 기상 관측 개시 111년만에 가장 높았다.

한국전력이 공개한 전력사용량 데이터를 한국그린캠퍼스협의회(이하 협의회)가 분석한 결과, 용도별 전력사용은 산업 용도가 2.5% 증가한 반면 계절적 요인에 민간함 농사용, 주택(가정)용, 일반(상업)용, 교육용은 각각 4.3% 7.3%, 6.3% 5.1% 4.3% 증가했다. 다만 2011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심야 전력사용량은 2.0% 감소했다.

특히 주택용은 총 7만2895GWh로, 6만8544GWh를 기록한 전년보다 6.3%로 큰 폭이 증가했다. 이는 1993년 전력통계를 집계한 25년 만에 최대치다. 국내 연간 주택용 전기 사용량이 7만GWh를 넘긴 것도 지난해가 처음이다. 

협의회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현실적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이제 산업용 전기요금에 대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업종별 합리적 요금체계 도입 △에너지다소비 업종 산업부문 전기요금에 초과이익공유제(PS) 도입 등을 제안했다.

초과이익공유제는 기업이 해마다 설정한 목표 이익치를 초과하는 이익이 발생했을 때 협력 중소기업에게 초과이윤의 일부를 나누어 주는 제도다.  

협의회는 ”국내 전력소비 구성비는 산업용(55.7%)이 가장 많이 차지하지만 이로 인한 기후변화 등에 대해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소홀했다“며 "기업이 에너지를효율화 등을 통해 사회에 공헌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지난해 국내 총 전력소비량은 52만 6149GWh로 3.6%의 증감률(전년 대비 증감)을 보였다.

전력 소비 증가율을 2010년 10.1%로 정점을 찍은 후 2011년 4.8%, 2012년 2.5%, 2013년 1.8%, 2014년 0.6% 감소하다 2015년 1.3%, 2016년 2.8%, 2017년 2.2%, 2018년 3.6%로 다시 상승 추세다. 

지난 10년(2009~2018년)간 국내 전력사용량은 33.4% 증가했다. 일반(상업)용, 가정용, 가로등은 각각 30.5%, 22.7%, 21.3%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농사용, 산업용은 각각 91.3%, 41.5%로 평균치를 크게 웃돌았다. 교육용도 34.2% 증가했다. 

심야 전력사용량은 2011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며 10년간 34.3% 감소했다. 

ya9ball@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