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운동연합, 해양 관리 기본계획 수립 및 위원회 설치 촉구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자원순환사회연대는 공동으로 지난해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정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였다.(제주환경운동연합 제공)/2018.04.09/그린포스트코리아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자원순환사회연대는 공동으로 지난해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정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였다.(제주환경운동연합 제공)/2018.04.09/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소희 기자] 제주도의  해양쓰레기 없는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조례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해 제주지역 '국가해안쓰레기모니터링' 결과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에 대한 분석도 도내에서는 장비가 없어 도외 기관에 맡겨야 하는 형편"이라며 관련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설치를 촉구했다. 

제주환경운동연합과 자원순환사회연대는 공동으로 지난해 김녕리 해안과 사계리 해안 두 정점을 조사한 결과 수거된 1222개의 해양쓰레기 중 플라스틱의 비중은 전체의 59%(725개)였다. 

해안쓰레기모니터링 결과 그 뒤로 유리 19%(231개), 목재 12%(149개), 외국기인 8%(92개) 순으로 나타났다. 

수거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경우 페트병류와 어업 관련 쓰레기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어업 관련 쓰레기는 주로 부표, 어구, 밧줄 등이 수거됐다. 

제주도가 2017년 9월 제정한 이 조례는 해양쓰레기 정책의 기본목표와 추진방향, 해양쓰레기에 대한 조사와 연구, 처리방안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기본계획수립을 통해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또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이행하도록 정하고 있으며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의 수립·변경에 관한 사항 등을 아름다운 해안 가꾸기 위원회를 통해 진행토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사항들이 전혀 시행되지 않고 있다고 이 단체는 설명했다. 

환경운동연합은 미세플라스틱문제가 국내외를 막론하고 큰 이슈와 문제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인 조사활동이나 연구용역은 전무한 상황이라고도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은 “제주 해양을 지키기 위해서는 미세플라스틱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본계획 수립과 위원회 구성을 즉각적으로 시행하고, 조사와 연구는 물론 상시 분석이 가능한 시스템을 도내에 구축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ya9ball@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