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어 "공격성.질병 문제 등 불가피한 소수 상대 실시"
내부 직원 "무리한 구조, 공간 부족으로 230마리 안락사"

2019.1.11/그린포스트코리아
박소연 케어 대표가 고양이 모피로 만든 조끼를 들고 있다.(사진 권오경 기자).2019.1.11/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권오경 기자] 동물권단체 케어가 4년간 구조한 개, 고양이 등 일부 유기동물 수백마리를 비밀리에 안락사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무리한 유기동물 대량구조에 이은 보호소 공간 부족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11일 케어는 ‘안락사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문을 공개하며 보호하던 유기동물을 안락사해온 사실을 시인했다.

케어는 입장문에서 “2015년쯤부터 2018년까지 소수의 안락사가 불가피했다”면서 “케어의 안락사 기준은 심한 공격성으로 사람이나 동물에게 치명적인 해를 끼치는 경우, 전염병이나 고통·상해·회복 불능의 상태, 고통 지연, 보호소 적응 불가한 신체적 상태 및 반복적인 심한 질병 발병 등이었다”고 해명했다.

케어는 2019.1.11/그린포스트코리아
케어는 11일 '안락사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문을 공개하며 안락사 시행을 시인했다. 2019.1.11/그린포스트코리아

케어에서 근무했던 내부 직원의 증언은 다르다. 탐사보도매체 '셜록'과 한겨레의 보도에 따르면 케어가 지난 4년간 안락사한 230여마리 이상 동물 중 단 10%만이 불가피한 사유였고 나머지는 ‘보호소 공간 부족’을 이유로 희생됐다. 안락사는 케어와 친분이 있는 동물병원에서 주사를 놓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케어에서 4년간 동물관리국장을 지냈다는 A씨는 이날 A용지 4페이지 분량의 사죄문에서 "국장 발령 초기부터 케어 보호소 환경은 정말 열악했다. 박소연 케어 대표가 입양을 못 가고 사납고 늙은 개체를 안락사하라고 종용하면서 시작됐다"며 "2017년부터 대형 구조가 잦아져 보호소의 공간은 한정됐는데 들어올 애들은 급증하면서 더욱 감당하기 어려워졌다"고 안락사가 추진된 배경을 밝혔다.

이후 충주보호소가 법원의 명령으로 강제철거되고, 박소연 대표가 지난해 남양주 개농장에서 260마리를 대량 구조하면서 공간 문제가 더 심각해졌고 안락사가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A씨는 "심적으로 힘들어 2017년 12월 퇴사했을 때 제보 요청을 많이 받았지만 남아있는 보호동물이 피해를 입을까, 제가 비난을 받지않을까 두려워 거절하기도 했다"면서도 "보호소에 돌아온 후에도 박 대표는 달라지지 않았고, 이 일을 알려야 무리한 구조와 안락사가 반복되는 사슬을 끊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주장했다.

박소연 대표는 지난 9월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2010년 전까지는 소수의 동물 안락사가 불가피했지만 2011년부터 (케어에서) 안락사는 없다”라고 밝힌 바 있다.

박소연 케어 대표가 동물 안락사 논란에 휩싸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는 2011년 3월 케어의 동물보호소에서 가림막 없이 다른 개들이 보는 가운데 진돗개 20마리를 안락사시킨 혐의(동물보호법 8조)로 경찰 수사를 받았으나 기소 유예 처분을 받았다. 박 대표는 그 밖에도 수차례 동물법 위반 관련 혐의로 수사를 받았다.

roma2017@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